2025년을 앞둔 글로벌 IT 업계 동향: AI·디스플레이·하드웨어·규제 이슈 총정리
최근 테크 업계는 인공지능(AI)과 스마트 디스플레이, 스마트 스피커, 양자 컴퓨팅, 그리고 각종 규제 이슈 등으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구글과 삼성, 애플 등 주요 기업의 신제품·신기술 발표와 함께 각국 정부의 정책 변화가 맞물리며 2024~2025년 사이 시장이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래는 각 소식들을 하나로 묶어 정리한 요약입니다.
1. 구글 Nest Hub·Nest Audio 음성 인식 문제와 해결
• 핵심 내용
• 일부 사용자들이 Nest Hub와 Nest Audio를 통해 날씨나 시각 등의 기본 음성 명령을 내렸을 때, 어시스턴트가 무한 로딩 현상을 보이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수일간 지속된 후, 구글은 문제의 원인을 조사 중이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정상 동작이 가능해졌다고 밝혔습니다.
• 출처
2. 삼성 ‘Eclipsa Audio’ 3D 기술 2025년 TV·사운드바에 도입
• 핵심 내용
• 삼성전자가 구글과 함께 개발한 3D 사운드 기술 ‘Eclipsa Audio’를 2025년 출시 TV 및 사운드바 라인업(크리스탈 UHD부터 Neo QLED 8K까지)에 탑재할 예정입니다.
• 크리에이터들이 입체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삼성 기기에서 생생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해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출처
3. 인도네시아, 애플 iPhone16·구글 Pixel 판매 금지
• 핵심 내용
•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체 부품(Local Components) 사용 의무(TKDN) 규정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iPhone16과 구글 Pixel 스마트폰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 또는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법이 있으나, 불법 반입 시 기기 등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지는 사례가 있습니다.
• 애플은 투자를 늘려 규제 해제를 시도했지만, 인도네시아 정부 측은 “더 공정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 출처
4. 2024년 구글 픽셀 ‘승자와 패자’
• 핵심 내용
• 픽셀 9 Pro XL: 전작 픽셀 8 Pro에 비해 더 밝은 디스플레이, 향상된 셀피 카메라, 더 긴 배터리 사용 시간 등 다양한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고의 픽셀폰’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픽셀 9·픽셀 9 Pro Fold: 상대적으로 스펙이 떨어지거나(픽셀 9), 폴더블 시장 경쟁에 뒤처지는(픽셀 9 Pro Fold) 모습을 보여 ‘아쉬운 제품’으로 꼽혔습니다.
• 픽셀 9 Pro: 대화면이 부담스러운 사용자에게는 성능이 뛰어나며 한 손에 잡기 비교적 편한 ‘콤팩트 플래그십’으로 호평.
• Gemini(제미니) AI: 구글이 야심 차게 선보였지만 아직 ChatGPT 대비 활용도에서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픽셀 버즈 프로 2: 전작 대비 음질·ANC·착용감에서 향상이 두드러져 긍정적 평가.
• 픽셀 워치 3: 기대와 달리 큰 업그레이드가 없어 다소 실망을 샀습니다.
• Tensor G4 칩: 성능이나 발열 관리 측면에서 업계 기대치에 못 미쳤다는 평가입니다.
• 출처
5. 구글 양자 오류 정정(QEC) vs IBM QLDPC 경쟁
• 핵심 내용
• 구글 Quantum AI가 ‘서피스 코드(surface code)’를 통해 양자 오류 정정 시 오차율을 크게 낮추는 진전을 보였으나, IBM이 제시한 QLDPC(Quantum Low-Density Parity-Check) 코드가 훨씬 적은 큐비트로 비슷한 수준의 오류 정정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양자 오류 정정 기술은 양자 컴퓨팅 상용화의 핵심 과제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기적 결합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 출처
6. 구글, ‘Tag Assistant’ 크롬 확장 프로그램 부활
• 핵심 내용
• 구글이 자사의 인기 크롬 확장 프로그램인 태그 어시스턴트(Tag Assistant)를 다시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기존 ‘Tag Assistant Legacy’와 ‘Tag Assistant Companion’을 통합해 태그 디버깅 과정을 단순화하고 광고 태깅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 출처
7. 구글 클라우드 Vertex AI와 연동한 Suki 헬스케어 보조 기능
• 핵심 내용
• AI 의료 솔루션 회사 Suki가 구글 클라우드의 Vertex AI 플랫폼을 활용해 전자의무기록(EMR) 요약, Q&A, 코딩 작업까지 지원하는 의료 보조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 이를 통해 의사들이 환자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관리 업무 부담을 줄여 환자 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출처
8.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 “2025년이 관건”
• 핵심 내용
•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가 “2025년은 매우 중요한 해”라며, AI 주도권 경쟁 및 각종 규제·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의 신속하고 민첩한 움직임을 강조했습니다.
• Gemini(제미니) 앱을 2025년 핵심 과제로 삼아 글로벌 5억 명이 넘는 사용자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규제 리스크와 경쟁 압박에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출처
• CNBC 보도
요약
• AI와 디스플레이 기술 혁신
• 구글은 Gemini, 삼성은 Eclipsa Audio 등 차세대 AI·멀티미디어 기술에 집중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 하드웨어 시장 경쟁·규제 강화
• 인도네시아의 애플·구글 기기 판매 금지 사례처럼 제조사별 현지 부품 조달 의무 등 각국 규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 구글 픽셀 시리즈는 다양한 라인업을 출시했으나 일부 모델(폴더블, 일반 모델)의 경쟁력과 ‘Tensor G4’의 성능 문제로 아쉬운 평가도 존재합니다.
• 양자 컴퓨팅부터 헬스케어까지
• 구글과 IBM 간의 양자 오류 정정 기술 경쟁은 양자 컴퓨팅 상용화의 핵심 이슈입니다.
• 한편 의료 분야에서는 Suki가 구글 클라우드의 AI 기술과 결합해 전자의무기록 요약, 음성 인식 Q&A 등으로 ‘의료진 업무 효율화’를 지원합니다.
• 서비스 개선과 사용자 피드백
• 구글 Nest Hub·Nest Audio 문제 해결, 태그 어시스턴트 부활 등은 커뮤니티 피드백을 수용한 사례입니다.
• CEO 순다르 피차이는 2025년을 기점으로 AI, 클라우드, 디바이스 생태계 전반에서 속도감 있는 혁신과 시장 지배력을 이어 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기술 트렌드와 규제 환경 속에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2025년 행보가 업계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AI 고도화와 하드웨어 진화, 그리고 정부 규제 강화가 복합적으로 맞물리며, 기업 간 경쟁과 협력이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