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페이 10주년 기념 및 새로운 기능 소개
참고: Apple celebrates 10 years of Apple Pay
애플은 애플 페이 출시 10주년을 맞아 제니퍼 베일리 애플 페이 및 애플 월렛 부사장이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결제 방식을 소개했다. 현재 애플 페이는 78개국에서 수억 명의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으며, 11,000개 이상의 은행과 네트워크 파트너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앞으로는 iOS 18을 통해 미국에서는 Affirm, 영국에서는 Monzo Flex를 통해 온라인 및 앱 내에서 할부 결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미국과 영국의 사용자들은 Klarna의 유연한 결제 옵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미래에는 더 많은 국가와 파트너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애플은 물리적 지갑을 대체하는 디지털 지갑인 애플 월렛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으며, Tap to Provision 등의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애플의 AI 개발 현황과 도전
참고: [News] Insiders Reportedly Claim Apple to be Two Years behind in AI Development, Apple Intelligence will help AI become as commonplace as word processing
업계 내부자들에 따르면 애플은 AI 개발에 있어 2년 정도 뒤처져 있으며, 이는 고품질 데이터와 충분한 컴퓨팅 파워의 부족 때문이라고 한다. 팀 쿡 CEO는 최근 투자자 회의에서 이러한 격차를 인정하면서도 향후 몇 년 내에 AI 분야에서 따라잡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라는 자체 AI 버전을 출시하여 이메일, 메시지, 사파리에서의 텍스트 요약, 이미지 생성, 향상된 시리 기능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AI를 일상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하여 AI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애플의 생산 다각화 전략과 중국과의 관계
참고: GT Voice: India factory woes signal Apple’s plan to ‘diversify’ hard to achieve, Why Apple’s not decoupling from China
애플은 생산 라인의 일부를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도 공장에서의 생산 효율성, 제품 품질, 노동 관계, 인프라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인도 공장에서 아이폰 15와 아이폰 16의 제조 결함과 주요 협력업체 공장의 화재 사건 등이 발생하여 이러한 전략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애플은 중국 선전에 새로운 연구개발 센터를 개설하여 중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애플이 중국 시장을 중시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인도를 포함한 다른 시장과 생산지를 추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정치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주주 이익을 우선시하며 중국에서의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전체 요약
애플은 애플 페이 출시 1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결제 옵션과 기능을 도입하며 디지털 지갑인 애플 월렛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동시에 AI 개발 분야에서의 격차를 인정하고 '애플 인텔리전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일상에 AI를 통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생산 다각화 전략에서는 인도로의 생산 이전이 여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중국 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며 중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뉴스 > 애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유럽연합 제재와 iCloud 소송 직면 속 혁신적 업데이트 발표 (2) | 2024.11.19 |
---|---|
애플, M4 칩과 Apple Intelligence로 혁신적인 제품 공개 (1) | 2024.11.06 |
애플, 아이폰 16 시리즈와 신제품 출시로 소비자 관심 집중 (1) | 2024.09.27 |
Apple의 다양한 최신 소식 (0) | 2024.07.31 |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개발, Apple Watch SE의 수영 관련 문제, 새로운 애플 비디오 시리즈, 아이폰 15 구매 이유 (0) | 202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