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SK그룹이 주최한 ‘SK AI Summit 2024’에서 SK하이닉스와의 파트너십이 고성능 AI 가속기 개발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SK하이닉스의 HBM 개발 로드맵이 매우 공격적이지만 동시에 매우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 HBM4 공급 일정 앞당기기 요청: 젠슨 황 CEO는 SK하이닉스에 차세대 HBM4 칩의 공급을 기존 일정보다 6개월 앞당겨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에 대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가능한지 물었고,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고 말했습니다.
• SK하이닉스의 대응: SK하이닉스는 2026년 상반기에 12단 HBM4 칩을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엔비디아의 요청에 따라 일정 단축을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8년에는 HBM5와 HBM5E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TSMC와의 협력: SK하이닉스는 HBM4 개발을 위해 TSMC와 협력하고 있으며, 베이스 다이에 TSMC의 고급 로직 공정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 HBM3E의 양산 및 공급: SK하이닉스는 지난달 세계 최초로 12단 36GB HBM3E 칩의 양산을 시작했으며, 올해 말부터 공급을 시작합니다. 또한 2026년에 16단 HBM3E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출처:
• 중앙일보
• 한국경제
SK텔레콤, 엔비디아 GPU 기반 AI 데이터 센터 개소
SK텔레콤은 다음 달 서울에 엔비디아의 GPU를 기반으로 한 AI 데이터 센터를 개소하고, 경기도 판교에 AI 데이터 센터 테스트베드를 열 계획입니다.
• AI 클라우드 서비스 출시: 서울 가산 데이터 센터를 AI 데이터 센터로 전환하여 올해 말까지 구독 기반의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는 GPU 자원을 직접 구매하기 어려운 국내 기업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파트너십과 기술 도입: 미국의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와 협력하여 다음 달부터 엔비디아의 H100 GPU 기반의 GPU-as-a-Service를 제공하며, 내년 3월까지 H200 GPU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 판교 테스트베드: 최신 AI 부품과 SK하이닉스의 HBM,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 등을 포함한 AI 데이터 센터 테스트베드를 구축합니다.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깃허브와 함께 영국 AI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출시
마이크로소프트는 엔비디아, 깃허브와 협력하여 영국의 AI 중심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GenAI Accelerator 프로그램을 출시했습니다.
• 프로그램 내용: 생성형 AI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에게 기술 지침, 마케팅 전략 조언, 투자자 네트워크 접근 등을 제공합니다.
• 기간 및 대상: 2025년 1월부터 3월 초까지 진행되며, 시드 펀딩을 확보한 영국의 AI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 목표: 영국 내 활발하고 지속 가능한 AI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하며,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품 개발을 지원합니다.
출처:
엔비디아, 인텔 대체하며 다우 지수에 편입
엔비디아가 인텔을 대신하여 미국의 주요 주가 지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Index)**에 편입되었습니다. 이는 인덱스가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수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 엔비디아의 성장: AI 수요로 인해 최근 4분기 연속 세 자릿수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AI 반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인텔의 어려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운드리 사업을 분사하는 등 고강도 관리에 들어갔으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뒤처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주가 영향: 지수 편입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약 3% 상승했으며, 인텔 주가는 약 2% 하락했습니다.
출처:
• 매일경제
결론
엔비디아는 AI 칩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SK하이닉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SK텔레콤은 엔비디아 GPU 기반의 AI 데이터 센터를 개소하여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엔비디아 및 깃허브와 함께 영국의 AI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글로벌 AI 산업 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AI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이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그리고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뉴스 > 엔비디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 동남아 중심으로 ‘주권형 AI’ 구축에 박차… 반도체 생산·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로 AI 생태계 확대 (0) | 2024.12.07 |
---|---|
엔비디아, 소프트뱅크와 AI 슈퍼컴퓨터 및 AI-RAN 협력 강화와 차세대 기술 발표 (0) | 2024.11.19 |
Nvidia의 AI 및 컴퓨팅 혁신과 시장 영향력 확대 (1) | 2024.10.22 |
NVIDIA의 AI 인프라 혁신과 파트너십을 통한 시장 영향력 강화 (4) | 2024.09.27 |
삼성전자와 NVIDIA의 협력 및 새로운 AI 기술 발표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