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비디아

NVIDIA, 동남아 중심으로 ‘주권형 AI’ 구축에 박차… 반도체 생산·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로 AI 생태계 확대

closei 2024. 12. 7. 15:00
728x90
반응형

최근 NVIDIA는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자체 주권형 AI(Sovereign AI)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주도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NVIDIA는 차세대 GPU 생산 협의를 비롯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AI 인프라, 칩 생산, 데이터센터 및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태국과 베트남은 NVIDIA와의 협력을 통해 자국어 기반 대규모 언어모델(LLM) 및 AI 연구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국가 데이터 주권을 유지하며 경제·산업적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국은 방콕 기반 클라우드 기업 Siam.AI Cloud와 협력하여 NVIDIA H100 GPU 기반 AI 클러스터 ‘OpenThaiGPT’를 선보였다. 베트남은 NVIDIA와 AI R&D 센터 설립 협약을 체결했으며, Viettel 및 FPT Smart Cloud 등 현지 기업과 협력해 의료·교육·교통·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AI 솔루션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베트남은 지역적 AI 허브로 도약하는 한편, NVIDIA 역시 약 100개 이상의 베트남 AI 스타트업 육성(Inception 프로그램 참여) 및 65개 대학 협력 등 현지 생태계를 지원하고 있다. (출처: Sherwood News(Thailand taps Nvidia), The Diplomat(Vietnam Signs Agreement With Nvidia), GlobeNewswire(NVIDIA to Open Vietnam R&D Center), NVIDIA Blog(Thailand and Vietnam Embrace Sovereign AI))

 

한편 NVIDIA는 새로운 차세대 GPU인 Blackwell 시리즈 생산을 위해 대만 TSMC와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의 파운드리 협상을 진행 중이며, 패키징은 대만에서 처리하는 이원화 생산 전략도 거론되고 있다. (출처: TrendForce)

 

이와 동시에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약 10억8000만 달러를 투자해 NVIDIA GB200 GPU의 우선 공급권을 확보하는 등, 글로벌 IT·AI 기업들이 NVIDIA GPU 생태계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출처: DigiTimes)

 

NVIDIA는 또한 AWS, Fujitsu, Mavenir, Radisys 등 다양한 기업과 협력해 가속화된 로보틱스 시뮬레이션, 5G RAN 혁신, 클라우드 인프라 개선, AI 기반 신약 개발 등 다방면에서 AI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특히 Sovereign AI 전략을 통해 각국 정부가 자국 데이터와 모델을 자체 관리하며, 표현의 자유나 검열 우려를 둘러싼 논의 속에서도 자국 주도형 AI 인프라의 구축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 AWS offers accelerated robotics simulation with NVIDIA, LightReading(Nvidia bid to reshape 5G needs Ericsson/Nokia buy-in))

 

종합하면, NVIDIA는 AI 시대에 있어 국가별 주권형 AI 구축을 지원하며, 반도체 생산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로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행보는 AI 칩·인프라·솔루션 전반에 걸친 확장과 함께 각국 정부, 기업, 대학, 스타트업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미래 AI 산업 지형을 재편하고 있다.

 

 

COUPANG

쿠팡에서 추천합니다!

www.coupang.com

위 쿠팡 링크를 클릭하여 물품을 구매하시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